맨위로가기

유니언역 (TTC)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유니언역 (TTC)은 캐나다 토론토에 위치한 주요 대중교통 환승역으로, 1954년 영 지하철 개통과 함께 개장했다. 1호선 영-유니버시티 선의 남쪽 종착역으로 시작해, 유니버시티 선 연장과 여러 차례의 확장을 거쳐 현재는 지하철, 노면전차, GO 트랜싯 통근열차 및 광역버스, VIA 철도, 시외버스를 모두 이용할 수 있는 대규모 교통 허브가 되었다. 역에는 네 곳의 출입구가 있으며, 스튜어트 리드의 공공 예술 작품 "몰입 구역"이 설치되어 있다. 현재는 노면전차 노선 연장 및 승강장 증설을 포함한 미래 개발 계획이 진행 중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영-유니버시티 선 - 세인트패트릭역
    세인트패트릭역은 키치너 선 광역철도, TTC 버스, 505번 던다스 노면 전차가 지나고 지하철 1호선 환승이 가능한 캐나다 토론토의 대중교통 환승역으로, 주변에 성 패트릭 성당, 미술관, 박물관 등 다양한 명소가 있으며 접근성 및 플랫폼 외관 개선 공사가 진행 중이다.
  • 영-유니버시티 선 - 세인트조지역
    세인트조지역은 토론토 지하철 1호선과 2호선이 만나는 환승역으로, 토론토 대학교 인근에 위치하여 많은 승객들이 이용하며, 폴 아서가 디자인한 표지판과 접근성 및 승객 흐름 개선을 위한 지속적인 개선이 이루어지고 있다.
  • 1954년 개업한 철도역 - 고라쿠엔역
    고라쿠엔역은 도쿄 지하철 마루노우치선과 난보쿠선이 지나가는 역으로, 주변 시설 이용객이 많고 난보쿠선 승강장에서는 야구 경기일에 특별한 출발 멜로디가 사용된다.
  • 1954년 개업한 철도역 - 세류역
    세류역은 경기도 수원시 권선구 세류동에 있는 수도권 전철 1호선 역으로, 1954년 신호소로 시작하여 2003년 보통역이 되었으며, 수원공군기지와 인접하여 군 화물을 취급한다.
  • 토론토 교통국의 철도역 - 던랜즈역
    던랜즈역은 1904년에 개통된 토론토 지하철역으로, 그린우드 차량기지 연결 분기점 역할과 교통약자 접근성 개선을 위한 공사가 완료되었으며, 주변 시설 및 버스 노선과의 연계, 온타리오 선 건설 계획으로 토론토 교통 허브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 토론토 교통국의 철도역 - 아이온뷰역
    아이온뷰역은 에글린턴 크로스타운 선의 역으로, 5호선 개통 시 34번 에글린턴 버스와 연결되어 마운트데니스역과 케네디역을 잇고, 동쪽으로는 로렌스 파크 역, 서쪽으로는 데이비스빌 역과 인접해 있다.
유니언역 (TTC) - [지명]에 관한 문서
개요
유니언역 욘게 방면 승강장
유니언역 욘게 방면 승강장
주소캐나다 온타리오주 토론토 프론트 스트리트 웨스트 55번지
좌표43°38′44″N 79°22′50″W
웹사이트공식 웹사이트
운영 정보
역 구조지하역
승강장상대식 승강장
개통일1호선: 1954년 3월 30일
노면전차: 1990년 6월 22일
재건축2011년–2015년
접근성
통계
승객 수}}
노선 정보
노선1호선 영-유니버시티
509번 하버프론트 노면전차
510번 스파다이나 노면전차
인접역1호선: 세인트앤드루 - 킹
509, 510번 노면전차: 퀸스 키
환승 정보
대중교통TTC 버스 및 토론토 노면전차
베이
페이프
욘게
에스플러네이드–리버
체리 비치
스파다이나
욘게
하버프론트
스파다이나
기차역
버스 터미널

2. 역사

1949년경 역 발굴 현장


유니언역은 1954년 3월 30일, 최초의 영 (Yonge) 지하철 노선의 남쪽 종착역으로 문을 열었다. 1963년 2월 28일, 영-유니버시티선의 유니버시티 구간이 개통되면서 통과역이 되었다.

1990년 6월 22일, 509 하버프론트 및 510 스파다이나 노선의 일부인 604 하버프론트 경전철 노선의 종착역이 되었다. 지하철 선로 남쪽에 새로운 지하 경전철 승강장이 건설되었으며, 30m 길이의 보행자 터널과 계단을 통해 역 대합실과 연결되었다.

1996년에 엘리베이터가 설치되어 토론토에서 최초로 휠체어 접근이 가능한 지하철역 중 하나가 되었다.[3] 2014년에는 접근 가능한 경전철 운행 시작과 함께 엘리베이터가 교체되었다.

1960년대, 토론토 시내가 발전하고 GO 트랜싯이 운행을 시작하면서 유니언역의 승객이 증가했다. 1977년, 교통국왕립은행 플라자 개발자들은 유니언역을 개조하여 캐나다 왕립 은행의 기업 본사인 로열뱅크 플라자로 이어지도록 합의하였다. 이 출입구는 토론토 금융가의 다양한 건물로 이어지는 지하도시인 PATH로 연결되었다.[25]

유니언역과 연결되는 캐나다 왕립 은행의 기업 본사인 로열뱅크 플라자


1979년 토론토시는 유니언역 메자닌층 확장 공사를 승인하여 지하철역과 기차역 간 환승이 용이해졌다. 개찰구는 두 군데로 나뉘어 GO 트랜싯 대합실에서 북쪽 오피스 건물까지 바로 연결되었다.[25]

1980년대, 토론토시는 철도 부지 재개발로 토론토 시내와 호숫가를 연결하는 사업을 추진하였고, 1990년 6월 24일에 하버프론트 경전철 (노면전차)이 개통되었다.[33]

노면전차 승강장


노면전차 승강장은 유니언역 메자닌층 동쪽에 위치하며, 계단을 내려가면 지하철 선로 바로 남쪽에 있다. 승강장은 선로 급커브로 인해 곡선 모양이며, 공간 대부분이 전차 커브를 위해 출입이 막혀있다.[25]

1990년대, 유니언 지하철역 혼잡도가 높아져 토론토 교통국은 승강장 확장 방안을 검토했다. 2014년 8월 18일, 영 노선 열차 운행을 위한 두 번째 지하철 승강장이 개통되었고, 기존 승강장은 유니버시티 노선 열차만 운행하게 되었다. 2015년 역 리모델링으로 프로젝트가 완료되었다.[7]

유니언역 공사 당시 설치된 임시 외벽


2011년부터 2015년까지 진행된 역 확장 공사에서는 흰색 타일과 검은색 테두리로 교체되었으며, 역명 표시는 원래의 토론토 지하철 서체로 되돌아갔다.

2019년, 인접한 유니언역 재건 및 확장의 일환으로, 지하철역과 유니언역 단지 연결 "해자"에 대형 유리 캐노피가 설치되었다.[12]

2. 1. 초기 건설 및 개통 (1949-1954)



유니언역 공사는 1949년 9월 8일 몬티 홀이 사회를 보고 토론토 지역의 모든 라디오 방송국이 생중계했던 착공식과 동시에 시작되었다.[19] 착공식에는 온타리오 주 총독인 레이 로슨이 항타기에 올라 레버를 당겨 첫 빔을 타설했다.[20] 참가자들은 이후 로열 요크 호텔로 이동하여 착공 기념 연회에 참석하였고 인부들은 공사에 돌입하였다.[21]

유니언역 구간은 개착식으로 지어졌으며, 프론트가에 구덩이를 파 천장에는 나무 판자를 깔아 지상으로 차량과 노면전차가 다닐 수 있도록 하고 아래에서는 공사가 계속 진행되었다.[22] 천장이 지어지면서 도로는 다시 포장되었는데, 이 사이 공사 인부들은 개통을 앞두고 선로를 놓고 마감재를 발랐다.[22]

지하철을 굴착식이 아니라 개착식으로 지은 이유는 비용을 절감하기 위해서였지만, 역과 선로를 놓을 수 있는 곳이 한정되었다. 시내 부지는 매입하기가 어려웠기 때문에 토론토 교통국은 영가와 프론트가 밑으로 건설해야 했다.[23] 이에 따라 역 규모는 수요에 비해 작은 편이었지만, 기차역에 가까웠기 때문에 나중에 확장할 가치가 충분히 있었다.

영 지하철은 1954년 3월 30일에 개통하였다. 이날 오전 11시 30분에 열린 개통식에는 레슬리 프로스트 온타리오 주지사와 앨런 램포트 토론토 시장이 데이비스빌역에서 신호 스위치를 눌러 600명의 청중을 첫 열차에 태웠다. 열차는 데이비스빌역을 11시 50분에 출발하여 유니언역에 오후 12시 10분에 도착하였다.[24] 유니언역에 도착한 청중들은 로열 요크 호텔로 향하였고 유니언역은 오후 1시 30분에 정식 개장하였다.[25]

유니언역은 영 지하철의 남부 종착역으로 개통하였고, 역 디자인은 이 노선의 다른 11개 역과 비슷하였다. 역 내벽은 윤기가 나는 비트로라이트 타일과 노란색 타일, 빨간색 글씨와 테두리로 이루어져있었다.[25] 에글린턴역과 같이 유니언역은 섬식 승강장으로 승강장 양쪽에 선로가 있었다. 역에 도착하는 열차는 역 동쪽에 있는 교차 선로를 통해 다시 회차하였는데, 킹역과 유니언역 사이 곡선 반경 문제로 교차 선로를 완만한 커브로 지어야했다.[25] 계단과 에스컬레이터는 승강장에서 메자닌 층을 잇고, 메자닌 층에는 개찰 구역이 하나만 있었다. 출구는 유니언 기차역 정문 동쪽, 프론트가 남쪽에 계단이 설치되었다. 유니언 지하철역은 또한 역 남쪽에 있는 기차역까지 지하 통로로 연결되었다.

2. 2. 유니버시티선 연장 (1963)

1959년 11월 16일, 레슬리 프로스트 온타리오 주지사가 유니버시티선 착공식에서 레버를 당기면서 연장 공사가 시작되었다.[27] 1963년 2월 28일, 영-유니버시티선의 유니버시티 구간이 개통되면서 유니언역은 통과역이 되었다. 이와 함께 세인트조지역이 새로운 종착역이 되었다.[25]

유니버시티선 개통 초기에는 승객 수가 저조하여 월요일부터 토요일까지 오후 9시 45분 이후, 그리고 일요일과 공휴일에는 운행하지 않았다. 이에 따라 유니언역에서 회차하는 일이 빈번했으며, 이는 1978년 1월 28일 스파다이나 지하철 연장 구간이 개통될 때까지 계속되었다.[25]

유니버시티선 구간에는 세인트앤드루역과 유니언역 사이에 주박 선로가 설치되어 전동차 주박 및 회차에 사용되었다. 토론토 교통국은 1980년대 출퇴근 시간대 수요를 맞추기 위해 이곳에 전동차를 주박하였고, 스카이돔(오늘날의 로저스 센터)에서 주요 행사가 열릴 때 추가 열차를 이곳에 정박하였다.[25]

2. 3. PATH 연결 및 초기 확장 (1970년대)

1960년대, 토론토 시내가 발전하고 공업지대가 상업지대로 바뀌면서 유니언역의 승객이 점차 늘어났다. GO 트랜싯이 유니언역을 거점으로 운행을 시작하면서 승객 수는 더욱 증가했다. 1977년, 교통국왕립은행 플라자 개발자들은 유니언역을 개조하여 새로 지어지는 오피스 건물 (캐나다 왕립 은행의 기업 본사인 로열뱅크 플라자)로 이어지도록 합의하였다. 이 출입구는 토론토 금융가의 다양한 건물로 이어지는 지하도시인 PATH로 연결되었다.[25]

1977년 유니언 지하철역의 하루 평균 이용객은 51,227명으로, 1954년 개통 당시보다 두 배나 늘었다. 하지만 메자닌층은 178m²에 불과해 매우 비좁았다. 1979년 토론토시는 2800000CAD를 들여 메자닌층을 873m²로 확장하는 공사를 승인하였고, 이 공사로 지하철역과 남쪽에 있는 기차역 간의 환승이 용이해졌다. 유니언역의 개찰구는 두 군데로 나뉘어 1979년에 새로 개통한 GO 트랜싯 대합실에서 북쪽에 있는 오피스 건물까지 바로 이어질 수 있도록 재배치하였다.[25]

2. 4. 노면전차 연결 (1990)

1980년대, 토론토시는 철도 부지를 재개발하여 토론토 시내와 호숫가를 연결하는 사업을 추진하였다. 1985년, 통합시 의회는 유니언역에서 퀸스키와 스파다이나를 따라 하버프론트 경전철 (노면전차)을 건설하는 것을 승인하였다.[33] 이 사업의 중심은 베이가를 따라 퀸스키에서 유니언역으로 이어지는 터널이었는데, 비상구 위치에 대한 논쟁 끝에 1990년 6월 24일에 개통되었다.[33]

노면전차 승강장은 유니언역 메자닌층 동쪽에 위치하며, 계단을 내려가면 지하철 선로 바로 남쪽에 있다. 유니언역에 진입할 때 선로의 급커브로 승강장은 곡선 모양인데, 이에 따라 승강장 공간 대부분이 전차의 커브를 위해 승객의 출입을 막아두었다.[25]

2. 5. 추가 확장 및 현대화 (2000년대-현재)

1990년대에 들어서 유니언 지하철역의 혼잡도는 점점 높아졌다. 토론토 시내의 팽창은 물론 철도 부지 재개발, GO 트랜싯 승차량 증가로 유니언역은 블루어-영, 세인트조지, 핀치에 이어서 네 번째로 가장 바쁜 역이 되었지만, 역 내부 구조는 1954년 개통 당시와 거의 동일하였다. 교통국은 이 승객 문제를 해결하지 않으면 위험한 상황에 도달할 수 있음을 인지하여 유니언역의 승강장을 늘리는 방안을 검토하였고, 섬식 승강장이었던 유니언역에 새로운 승강장을 짓기로 하였다. 교통국은 선로 남쪽에 승강장을 짓는 것이 비용이 덜 들어 당시 4000만캐나다 달러를 들여 남쪽에 승강장을 신설하기로 했다.[25]

1990년대 말, 멜 라스트먼 토론토 시장은 유니언역 확장 공사에 필요한 정부 지원금 확보에 주력하였다. 1999년 11월 3일, 라스트먼은 마이크 해리스 온타리오 주지사와 장 크레티앵 캐나다 총리와 토론토의 호숫가 재개발 사업을 발표하였고,[36] 2001년 11월에는 퀸스키 이스트와 토론토의 항만 부지의 개발을 담당하는 공공 기관인 '워터프론트 토론토'가 설립되었다.[37] 워터프론트 토론토는 연방, 주, 시로부터 정부 지원금을 받아 유니언 지하철역의 두 번째 승강장을 짓는 예산을 확보하였다.[38]

사람들로 붐비는 지하철역과 기차역을 개방하면서 주요 공사를 진행한다는 것은 공학적으로 굉장히 어려운 일이었으며, 유니언 기차역 개선 공사와 공사 일정을 조율하는 것은 더욱 큰 난제였다. 두 번째 승강장 공사는 2006년에 시작했지만 유니언 기차역과 프론트가 사이의 하수관 등을 이전하는 공사만 진행되었다.[39] 공사가 본격적으로 시작된 시점은 2011년 2월에 계단을 막아두면서였다.[40]

2014년 8월 18일, 영 노선 열차를 운행하기 위한 두 번째 지하철 승강장이 개통되었고, 기존 승강장은 유니버시티 노선 열차만 운행하게 되었다.[4] 새로운 승강장은 평판이 대체적으로 좋았지만 기존의 유니버시티선 승강장 또한 개량이 필요했고 승강장 공간을 더 넓힐 필요가 있었다. 유니버시티선 승강장과 영선 선로 사이의 임시 벽은 2015년 7월에 스튜어트 리드의 길이 170m 규모의 긴 유리벽 미술 작품인 '몰입 구역' (Zones of Immersion)으로 대체되고,[46] 하버프론트와 스파다이나 노면전차는 2014년 10월에 운행을 재개하였다. 이때 노면전차 승강장에서 핀치 방면 승강장으로 이어지는 통로 또한 개장하였다.[47] 이 프로젝트는 2015년 역 리모델링이 완료되면서 마무리되었다.[7]

2011년부터 2015년까지 진행된 역 확장 공사에서는 흰색 타일과 검은색 테두리로 교체되었으며, 역명 표시에 사용된 서체는 원래의 토론토 지하철 서체로 되돌아갔다.

2019년에는 인접한 유니언역 재건 및 확장의 일환으로, 지하철역과 유니언역 단지의 나머지 부분을 연결하는 "해자"에 대형 유리 캐노피가 설치되었다. 유니언역의 주요 대합실과 연결되는 이 날씨로부터 보호되는 경로는 통근자들이 TTC 역을 출입할 때 밖으로 나갈 필요가 없도록 보장한다.[12]

3. 역 구조

유니언 지하철역은 3층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지상층에는 출입구, 엘리베이터, 에스컬레이터, 계단, 교통약자를 위한 경사로가 있으며, 버스 및 휠체어 셔틀버스 정류장, 공영 자전거 대여 시설도 있다. 지하 1층에는 개찰구와 고객 센터가 있는데, 이전에는 역무원이 현금, 토큰, 티켓을 받았지만, 지금은 교통카드로 교체되면서 고객 센터로 바뀌었다. 지하 1층에서는 엘리베이터, 에스컬레이터, 계단을 통해 지하철 및 노면 전차 승강장까지 이어진다. 핀치 방면 승강장을 거쳐야 노면 전차 승강장으로 갈 수 있다. 지하 2층에는 지하철 승강장과 노면 전차 승강장이 있다. 유니언 역은 기존 1면 2선의 섬식 승강장이었으나, 두 번째 지하철 승강장을 지으면서 2면 2선으로 바뀌었다. 노면 전차 승강장은 한 곳에서 두 노면 전차 노선이 동시에 정차한다.[48]

3. 1. 출입구

유니언역에는 네 곳의 출입구가 있다. 유니언역 확장 공사가 계속 이루어지면서 일부 출입구는 공사 도중에 폐쇄될 수 있다.[12]

기차역에서 지하철역으로 이어지는 출입구는 총 세 곳이 있는데, 프론트 스트리트 출입문은 베이와 요크 스트리트 사이에 있고, GO 트랜싯 출입문은 베이 스트리트 서쪽, 프론트 스트리트에서 79m 남쪽에 있다. '해자' 출입구는 프론트와 베이 스트리트에 있다. 이 세 출입문은 엘리베이터를 통해 휠체어 승객도 이용할 수 있다.[12]

PATH 출입구는 로열 뱅크 플라자와 브루크필드 플레이스에 있다. 이 두 출입문은 해당 건물의 엘리베이터를 통해 휠체어 승객도 이용할 수 있다.[12]

세 번째 출입구는 프론트와 베이 스트리트 도로변에 있으며, 계단으로 지하철 개찰구까지 이어진다. 네 번째 출입구는 프론트와 요크 스트리트 도로변에 있으며, 역시 계단으로 이어진다.[12]

구분위치
북쪽 출입구프론트 스트리트 북쪽 지상 계단
로열 뱅크 플라자 지하 통로
브룩필드 플레이스 지하 통로
남쪽 출입구프론트 스트리트 남쪽 지상 계단 (2개)
유니언 철도역 연결 "해자" [12]


3. 2. 시설

유니언 지하철역은 3층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지상층에는 출입구, 엘리베이터, 에스컬레이터, 계단, 교통약자를 위한 경사로가 있다. 버스 정류장, 휠체어 셔틀버스 정류장, 공영 자전거 대여 시설도 지상층에 있다. 지하 1층에는 개찰구와 고객 센터가 있다. 이전에는 역무원이 현금, 토큰, 티켓을 받았지만, 지금은 교통카드로 교체되면서 고객 센터로 바뀌었다. 지하 1층에서는 엘리베이터, 에스컬레이터, 계단을 통해 지하철 및 노면 전차 승강장까지 이어진다. 노면 전차 승강장은 핀치 방면 승강장을 거쳐야 한다. 지하 2층에는 지하철 승강장과 노면 전차 승강장이 있다. 기존 1면 2선의 섬식 승강장이었던 유니언 역은 두 번째 지하철 승강장을 지으면서 2면 2선으로 바뀌었다. 노면 전차 승강장은 한 곳에서 두 노면 전차 노선이 동시에 정차한다.[48]

4. 공공 예술

스튜어트 리드의 유리벽 작품 '몰입 구역'


유니언역에는 스튜어트 리드의 유리벽 작품 "몰입 구역" (Zones of Immersion)이 설치되어 있다.[8][9] 2014년 유니언역에 두 번째 승강장이 신설되면서 설치된 이 작품은, 지하철 승강장에 반투명 벽화로 설치되었다. 동판 작업을 거친 은 스테인의 에나멜 접합 유리 패널 작품으로, 이미지와 글귀를 사용하여 이동 중인 도시의 흐릿거리고 두근거리는 리듬을 포착하고자 하였다.[49]

토론토 역사상 가장 큰 규모의 공공 예술 작품으로, 지하철 승강장 전 구간에 걸쳐 설치되었다. 빛나는 색상과 출퇴근 시간대 승객들의 모습을 담은 단색 초상화는 반사되거나 투명하게 표현되어 전체 작품이 리본과 베일을 겸하고 있다.[49]

작가는 이 작품을 대중이 승강장을 걸어 다니거나 가만히 열차를 기다리는 동안 몰입할 수 있는 환경 예술로 구상하였다. 리드는 "이 작품은 보는 사람의 움직임에 따라 영화처럼 몰입감 있게 반응하며, 관객은 관람하는 순간 자신이 객관적으로 참여하고 있는 바로 그 경험을 주관적으로 표현한 작품에 비유적으로, 그리고 말 그대로 비추어지는 자신의 모습을 보게 된다"며 이 작품이 승강장에서 일종의 거울과 같은 역할을 한다고 설명하였다.[49]

일부 승객들은 "공포 영화에서 나올 법한 어린 아이의 오싹한 그림"과 같다며 부정적인 반응을 보였고, 꿈에 나올까 무섭다는 반응도 있었다.[50] 이에 대해 리드는 지하철을 타면서 느끼는 기쁨과 슬픔을 투영하기 위해 만든 것이며, 항상 기쁜 감정만 느끼는 것은 아닐 것이라고 해명하였다.[50]

이 작품은 170m 길이의 대형 유리 패널 166개로 구성되어 있으며, 대부분 투명하여 Yonge 선과 University 선 플랫폼 모두에서 볼 수 있다. 각 패널에는 이미지나 단어가 포함되어 있으며, 많은 부분이 리드가 지하철을 타면서 그린 스케치를 기반으로 한다.[10][11]

5. 대중교통 연결편

유니언역은 캐나다 최대 규모의 교통 시설로, 다양한 대중교통 수단을 이용할 수 있다.

크게 토론토 교통국 (TTC), GO 트랜싯, VIA 철도, 시외버스로 나눌 수 있다.

5. 1. 토론토 교통국 (TTC)



유니언역은 캐나다 최대 규모의 교통 시설로, 갈아탈 수 있는 교통편이 다양하다. 우선 토론토 교통국 (TTC)이 운행하는 토론토의 시내버스와 노면 전차가 있다.

지하철 운행 시간대에는 509번 하버프론트 노면전차가 캐나다 내셔널 박람회가 열리는 엑시비션 종점까지, 510번 스파다이나 노면전차가 스파다이나역까지 최대 10분 간격으로 운행한다. 지하철 운행이 종료된 후에는 310번 스파다이나 심야 노면전차가 스파다이나역까지 30분 간격으로 운행한다. 이 노면전차들은 지하철역 내부에 있는 노면전차 승강장에 정차하므로, 환승 시 별도의 요금 지불 절차가 필요 없다.[48]

지하철 운행 시간 (오전 6시, 일요일은 오전 8시부터 다음 날 오전 2시까지) 에는 19번 베이, 72번 페이프, 97번 영, 121번 에스플러네이드 / 리버 버스가 베이와 프론트 스트리트에 있는 도로변 버스 정류장에 정차한다. 이 버스들은 지하철역 밖에서 환승해야 하므로, 프레스토 카드를 단말기에 찍거나 출발 지점에서 받은 종이 환승권을 제시해야 한다.[48]

요금 지불 구역 내에서 지하철과 노면 전차 간의 직결 연결은 다음 노선에서 제공된다.

노선이름추가 정보
509하버프론트서쪽 방향 전시 루프행
510스파다이나하버프론트 경유 스파다이나역
310스파다이나 블루 나이트하버프론트 경유 스파다이나역행



역이 밤에도 운영되므로 지하철이 운행하지 않는 동안에도 이 노선을 이용할 수 있다.

지하철 또는 노면 전차와 다음 버스 노선을 길가 정류장에서 연결하려면 환승이 필요하다.

노선이름추가 정보
19베이북쪽 방향 듀폰 스트리트행, 남쪽 방향 퀸스 키 및 셔번 스트리트행
72B페이프퀸스 키 및 커미셔너스 스트리트 경유 페이프역
97C북쪽 방향 에글린턴역
121에스플러네이드–리버동쪽 방향 브리지포인트 액티브 헬스케어행
202체리 비치동쪽 방향 체리 비치행
320영 블루 나이트북쪽 방향 스틸스 애비뉴 이스트행 및 남쪽 방향 퀸스 키행



1980년대 초, 영 지하철의 혼잡을 완화하기 위해 다운타운 릴리프선 건설이 계획되었으나, 유니언역 환승 통로 설계의 어려움으로 인해 웰링턴가를 따라 역을 신설하고 인접 역들과 환승 통로를 설치하는 것으로 변경되었다.[32]

1985년, 통합시 의회는 유니언역에서 퀸스키와 스파다이나를 따라 하버프론트 경전철 (노면전차)을 건설하는 것을 승인했고, 1990년 6월 24일에 개통하였다.[33]

노면전차 승강장은 유니언역 메자닌층 동쪽에 위치하며, 지하철 선로 바로 남쪽에 있다. 승강장은 선로의 급커브로 인해 곡선 모양이며, 승객의 출입이 제한되는 공간이 있다. 노면전차 승강장의 타일은 파란색과 녹색으로, 지하철역 승강장과 다르지만 폰트는 유니버스로 동일하다.[25]

또한, 노면전차 승강장에는 보행자 통로와 펜스가 설치되어 출발 승객과 도착 승객의 동선을 분리하였다. 1996년 6월 22일, 유니언 지하철역에 엘리베이터가 설치될 때 메자닌과 노면전차 승강장을 잇는 엘리베이터도 설치되었다.[34]

5. 2. GO 트랜싯

유니언 기차역에서는 GO 트랜싯의 7개 통근열차 노선이 정차한다. 레이크쇼어 웨스트선이스트선은 매일 최대 30분 간격으로 운행하고, 키치너선은 매일 최대 1시간 간격으로 운행하지만 평시에는 일부 구간이 버스 노선으로 대체 운행되기 때문에 행선지에 따라 통근열차에서 버스로 갈아타야 한다. 밀턴, 리치먼드힐, 스토우빌선은 현재 평일 출퇴근 시간대에만 통근열차로 운행하고 있고, 나머지 시간대에는 버스 터미널에서 버스를 이용하거나 지하철 및 시내버스를 대신 이용해야 할 수도 있다.[51] 배리선은 평일 출퇴근 시간대는 물론 주말에도 통근열차를 운행하고 있고, 나머지 시간대에는 버스 터미널에서 버스를 이용할 수 있다.

기차역에서 남동쪽으로 선상 통로를 따라가면 2020년 12월에 CIBC 스퀘어 건물에 문을 연 유니언역 버스 터미널이 있다. 이곳에는 GO 트랜싯의 광역버스는 물론 토론토의 거의 모든 시외버스가 정차한다. GO 트랜싯의 경우 16번 해밀턴 / 토론토 급행 버스가 유니언역에서 해밀턴 GO 센터까지 평일에는 1시간 간격, 주말에는 30분 간격으로 운행한다. 이 버스는 유니언역에서 해밀턴 시내까지 무정차로 운행하는 급행 버스이기 때문에 통근열차보다 빠른 편이다. 그 외에는 통근열차가 운행하지 않는 시간대에 대신 운행하는 버스인 18번 레이크쇼어 웨스트, 21번 밀턴, 31번 키치너, 61번 리치먼드힐, 63번 킹시티 / 토론토, 65번 뉴마켓 / 토론토, 70번 스토우빌 및 90번 레이크쇼어 이스트 버스가 터미널에 정차한다.

5. 3. VIA 철도

유니언 기차역에서는 캐나다의 여객철도를 운영하는 공기업인 VIA 철도의 중장거리 여객철도를 이용할 수 있다. 행선지는 오타와, 몬트리올, 윈저, 사니아, 뉴욕, 밴쿠버 등이다. 이 중에서 뉴욕으로 향하는 메이플 리프는 캐나다 구간은 VIA 철도가 운행하고 미국 구간은 암트랙이 운행하며, 예매할 때 여권 정보가 필요하다.[51]

5. 4. 시외버스

유니언역 버스 터미널에는 플릭스버스, 그레이하운드, 메가버스, 온타리오 노스랜드, 레드 애로우, 라이더 익스프레스 등의 시외버스 회사들이 정차한다. 플릭스버스는 오타와, 워털루, 뉴욕, 디트로이트까지 버스를 운행하고, 그레이하운드는 뉴욕, 메가버스는 나이아가라폴스, 몬트리올, 오타와, 런던, 뉴욕, 워싱턴 D.C. 및 디트로이트 등지를 운행한다. 온타리오 노스랜드는 온타리오주 북부인 노스베이와 서드베리까지 운행하며, 이후 선더베이, 수세인트마리는 물론 위니펙까지도 버스가 연계되어 계속 운행한다. 앨버타 주를 포함한 캐나다 서부에서 주로 운행하는 레드 애로우는 토론토에서 킹스턴을 거쳐 오타와까지 운행한다. 그레이하운드가 미국행 버스를 제외한 캐나다 노선의 운행을 전면 중단했을 때 운행을 시작한 라이더 익스프레스도 토론토에서 오타와까지 운행하고 있다.[48]

6. 미래

토론토시는 토론토 교통국, 워터프론트 토론토와 함께 유니언역에서 호숫가를 따라 동쪽으로 경전철 또는 노면전차 노선을 연장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이 계획은 유니언역에서 퀸스키를 따라 디스틸러리와 포트랜드까지 이어지는 노선으로, 현재 고층 건물이 많이 있지만 대중교통이 부족한 지역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52]

1990년에 유니언역에서 퀸스키역까지 540미터 길이의 노면전차 전용 지하 터널이 개통되었다. 그러나 유니언역의 승객이 계속 늘어나면서 1990년에 지어진 승강장은 현재 수요를 감당하기에 부족하고, 승강장이 곡선이라 안전상의 이유로 승객들이 노면전차에 타고 내릴 수 있는 공간이 부족하다. 따라서 노면전차가 동부로 연장된다면 승강장 증설 및 기존 시설 보수가 필요하다.[53]

이에 토론토시는 교통국, 워터프론트 토론토와 함께 타당성 조사를 진행, 2019년 4월에 기본 설계 과정에서 노면전차로 건설하고 유니언역에는 2041년 승객 수 추이를 감안하여 승강장 수를 기존 1개에서 4개로 증설하기로 결정하였다.[53]

2022년 6월, 토론토시 설계 담당 직원에 따르면 설계는 30% 정도 완료되었으며, 총 사업 예산을 파악 중이라고 밝혔다.[53]

참조

[1] 웹사이트 Route 510 - The Spadina Streetcar - Transit Toronto - Content https://transittoron[...] 2018-05-29
[2] 웹사이트 Wi-fi Now Available At http://www.tconnect.[...] TCONNECT 2015-01-08
[3] 웹사이트 Milestones https://www.ttc.ca/S[...] 2022-01-20
[4] 웹사이트 TTC opening second subway platform at Union Station, August 18 http://transittoront[...] Toronto Transit Commission 2015-05-17
[5] 웹사이트 TTC marks milestone of revitalized Union Station https://www.ttc.ca/n[...] 2022-01-20
[6] 웹사이트 TTC opening second subway platform at Union Station, August 18 - Transit Toronto - Weblog http://transittoront[...] 2020-03-15
[7] 웹사이트 TTC celebrates its completion of Union Station subway renovation https://toronto.ctvn[...] 2015-07-02
[8] 웹사이트 TTC opens Union Subway Station second platform http://nickwestoll.w[...] 2014-08-18
[9] 웹사이트 Union Station artwork an exercise in artistic transparency https://www.thestar.[...] The Toronto Star 2015-05-13
[10] 웹사이트 'Bloody gorgeous' art unveiling wraps up Union Station platform renovations https://www.toronto.[...] 2019-03-19
[11] 웹사이트 Is the new public art at Union Station depressing? https://www.thestar.[...] 2015-05-07
[12] 웹사이트 New Union Station glass 'moat' opens as transit hub shifts construction to lower level https://www.thestar.[...] 2019-07-07
[13] 웹사이트 Union Station https://www.ttc.ca/s[...] Toronto Transit Commission 2022-01-20
[14] 웹사이트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https://www.transit.[...]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2018-11-10
[15] 웹사이트 Waterfront Transit Update http://ttc.ca/About_[...] Toronto Transit Commission 2017-11-13
[16] 웹사이트 Waterfront East LRT Extension{{Snd}}Transit Network Update https://www.toronto.[...] City of Toronto 2021-02-19
[17] 웹인용 Route 510 - The Spadina Streetcar https://transittoron[...] 2021-03-28
[18] 뉴스 TTC free Wi-Fi now available Bloor to Union Station https://www.thestar.[...] 토론토 스타 2014-11-28
[19] 뉴스 Happy 60th birthday, Yonge Subway! https://www.thestar.[...] 토론토 스타 2014-03-28
[20] 웹인용 Canada's First Subway: Groundbreaking https://www.toronto.[...] 2021-03-28
[21] 뉴스 Birth of a subway https://bowjamesbow.[...] 메트로 (신문) 2004-03-29
[22] 웹인용 Canada's First Subway: Underground Downtown https://www.toronto.[...] 2021-03-28
[23] 웹인용 A History of the Original Yonge Subway https://transittoron[...] 2004-09-02
[24] 웹인용 Canada's First Subway: Open for Business https://www.toronto.[...] 2021-03-29
[25] 웹인용 Union https://transittoron[...] 2021-03-29
[26] 웹인용 The University Subway https://transittoron[...] 2004-09-01
[27] 뉴스 Happy 50th Anniversary, University Line! https://torontoist.c[...] 2013-05-06
[28] 웹인용 The top 5 unbuilt mega projects in Toronto https://www.blogto.c[...] 2014-01-23
[29] 웹인용 Toronto subway station tiles http://jbb.poslfit.c[...] 2021-05-05
[30] 웹인용 How the TTC lost and found its subway style http://spacing.ca/to[...] 2015-11-25
[31] 웹인용 A History of the Downtown Relief Subway Line https://transittoron[...] 2009-02-06
[32] 서적 Rapid Transit in Toronto: A Century of Plans, Progress, Politics and Paralysis https://web.archive.[...] 2013-03-19
[33] 웹인용 Route 509 - The New Harbourfront Streetcar https://transittoron[...] 2004-09-01
[34] 웹인용 Milestones http://www.ttc.ca/Ab[...] 2021-05-06
[35] 웹인용 The Toronto Flexity Freedom Light Rail Vehicles https://transittoron[...] 2019-06-04
[36] 웹인용 Toronto Waterfront revitalization to begin http://wx.toronto.ca[...] 2021-05-06
[37] 웹인용 History & Heritage https://www.waterfro[...] 2021-05-06
[38] 웹인용 Procurement Authorization: Union Subway Station Second Platform & Concourse Improvements Contract U2-7 http://www.ttc.ca/Ab[...] 2021-05-06
[39] 웹인용 Construction starts on Union subway station expansion https://waterfrontor[...] 2021-05-06
[40] 웹인용 Front Street and Bay Street Concourse Map http://www.ttc.ca/PD[...] 2021-05-06
[41] 웹인용 Buses to replace TTC’s 509 Harbourfront streetcar during Queens Quay revitalization https://www.ttc.ca/N[...] 2021-05-06
[42] 뉴스 What's Going On Beneath Front St? TTC Works on Union Subway Station https://urbantoronto[...] Urban Toronto 2021-05-06
[43] 웹인용 2013 - A Year in Review https://ttc.ca/PDF/T[...] 2021-05-06
[44] 뉴스 Union Station to be closed to subway service on Sunday https://www.toronto.[...] Beach Mirror 2021-05-06
[45] 웹인용 Second Platform Opens at the TTC's Union Subway Station https://urbantoronto[...] 2021-05-06
[46] 뉴스 Zones of Immersion unveiled at Toronto’s Union Station https://www.canadian[...] Canadian Architect 2021-05-06
[47] 웹인용 TTC Streetcars Return to Queens Quay https://www.ttc.ca/N[...] 2021-05-06
[48] 웹인용 Union Station https://www.ttc.ca/e[...] 토론토 교통국 2023-05-07
[49] 웹인용 "zones of immersion" Union Station Toronto https://www.codaworx[...] 2023-05-08
[50] 뉴스 Is the new public art at Union Station depressing? https://www.thestar.[...] 토론토 스타 2023-05-08
[51] 웹인용 Full Schedules https://www.gotransi[...] GO 트랜싯 2023-05-07
[52] 웹인용 The Port Lands of Toronto, Canada https://storymaps.ar[...] 2023-05-08
[53] 웹인용 Waterfront East Light Rail Transit https://www.toronto.[...] 토론토시 2023-05-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